Animal Genomic & Breeding Laboratory
실험실 소개
가축유전체육종학실은 한우를 포함한 다양한 가축의 유전체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양적 형질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규명하여 개체의 유전능력을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축개량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유전체 육종학(Genomic Selection)이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첫째, 양적 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가축의 유전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계적 유전체 선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둘째, 가축개량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혈통 오류 및 근친 문제를 유전체 정보를 통해 개선하고 조절함으로써, 생명공학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셋째,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Genome Wide Association Analysis, GWAS)을 통해 형질 조절 유전자를 탐색하고, 이를 활용해 개체의 유전능력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
- 가축육종계획 수립 및 농장검정자료활용 육종가 추정 체계 연구
- 가축유전체정보활용 유전체 육종가 추정체계 연구
- 전장유전체연관분석을 통한 양적형질 조절 원인유전자탐색
- 가축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집단유전체 연구
- 개체의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근친제어기술 개발연구
한우 유전체정보 활용 우량종축 선발모델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한우 표준 유전체 참조집단 데이터 베이스 구축
- 참조집단 : 씨수소 및 후대 3,000두 및 혈통 12세대
- 유전자형 및 표현형 : 50k chip, 성장 및 도체형질 등
- 한우 표준참조집단 활용 유전능력조기 예측기술개발(GBLUP)
- 추정욕종가 정확도 개선(15%), 선발기간 단축 (5년→3년), 개랑량 24% 개선
전장유전체연관분석 및 기능유전체분석을 통한 조기예측기술 개발
- 한우 육량(도체중) 조절 유전자 검출 및 상용화 진단 kit개발
- 한우 유전력의 10% 설명 및 농가 한우 도체중 26kg증가 예측 상용화 kit
- 한우 육질 예측 상용화 Taqman assay 진단기술개발
- 한우고기의 전단력, 풍미 및 다즙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진단 kit
유전체정보 활용 한우의 기원 및 유전특성분석 기술 개발
- 한우의 품종성립 및 기원분석 기술 개발
- 한우 및 외국 소품종 유전체정보 비교분석으로 한우의 품종성립 기원분석
- 한우의 품종성립 : nosindous 5%, 유러피언 bos taurus60%, 아시안 bos taurus35%
한우와 혼합 교배된 종까지 식별능 향상 기술 개발을 통하여 순계품종보존.
대표적 연구사례
Genetic evaluation & ML models
High-throughput data analysis
Diversity & Population ge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