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시각적상자

학과소개

  • 안전한 동물성 식량자원 생산 및 가공
  • 형질전환, 복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증대 및 부가 가치 제고
  • 동물소재를 활용한 유용물질 개발
  • ICT·빅데이터·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축산 시뮬레이션과 복지 기술 개발
  • 사료자원 및 동물관리 시스템 개발
  • 지속가능한 친환경 동물산업 구축

동물자원과학 연구의 각 분야(유전·육종·번식·사양·영양·가공 및 위생관리 등) 최고 전문가들이 첨단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며, 디지털 축산 시스템과 정밀 축산, 생명공학적 접근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축산업을 선도

최근 동물산업의 대상이 전통적인 경제동물에서 야생 조수류, 어류, 실험·반려동물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자원과학 분야는 1차 산업뿐만 아니라 가공·유통 등 2·3차 산업을 포함하는 종합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AI가 발전함에 따라 ICT,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축산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생산성 향상과 친환경 축산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 축산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축산물 생산과 동물 복지 향상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전통적인 사양 관리, 번식, 영양, 환경 조절, 가공 및 위생 관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병행하며,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축산업 종사자들이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생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리 학과는 변화하는 동물산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동물자원과학 분야의 선도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전·육종·번식·사양·영양·환경·가공·위생 등 핵심 분야에서 최고의 교수진이 첨단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교육·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 축산 시스템과 정밀 축산, 생명공학적 접근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축산업을 선도하고자 한다. 또한 축산학 전공의 전문가를 배출하기 위한 세분화된 전공으로 대학원을 운영함으로서 보다 발전된 동물산업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동물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인류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것이 학과의 비전으로 삼고 있다.